서기록

winsxs 폴더 정리 용량 줄이는 방법

2025-08-20 / seogilang

 winsxs 폴더는 윈도우의 핵심 구성 요소가 있는 폴더로 다양한 시스템 파일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폴더라고 보면 된다.

 윈도우가 업데이트되면 그 전 버전의 DLL 파일이나 시스템 구성 요소를 백업해 두고 업데이트에 문제가 생겨 되돌리거나 손상된 시스템 파일의 복구를 할 때 사용되며, 특정 프로그램이 전 버전의 DLL 파일등을 요구할 때 안정성과 호환성을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기본적으로 용량이 부족하지 않다면 건드리지 않는 것이 가장 좋지만 어쩔 수 없는 상황이라면 DISM 명령어를 사용하여 폴더를 정리하고 용량을 줄이면 된다.

 

winsxs 폴더를 정리해서 용량 줄이기

1. 사용량 확인.

 winsxs 폴더를 바로 정리하기보다는 먼저 사용량을 확인하고 판단해 보자.

  1. cmd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2. 사용량 확인 명령어 입력.

Dism.exe /Online /Cleanup-Image /AnalyzeComponentStore

 

 명령어를 입력하고 잠시 기다리면 구성 요소 저장소 정보가 나타난다.

 winsxs 폴더 전체를 삭제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실제 폴더를 정리했을 때 확보 가능한 용량은 ‘백업 및 기능 사용 안 함’‘캐시 및 임시 데이터’의 용량이라고 보면 된다.

winsxs 폴더 정리 용량 확인

 

2. 폴더 정리.

 확보할 수 있는 용량을 확인했지만 얼마 되지 않는다면 winsxs 폴더는 그냥 건드리지 말자.

 하지만 작은 용량이라도 꼭 필요하다고 생각된다면 아래의 DISM 명령어를 입력하여 폴더를 정리하면 된다.
 (30일이 지난 이전 버전의 구성 요소를 삭제한다)

  1. cmd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2. 폴더 정리 명령어 입력.

Dism.exe /online /Cleanup-Image /StartComponentCleanup

winsxs 폴더 정리 용량 확보 명령어

 

참고 내용

  • 위 명령어는 윈도우 업데이트 후 30일이 지나면 작업 스케줄러에 의해 자동으로 실행되기 때문에 생각보다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할 수도 있다.
  • 업데이트 후 당장 용량 확보가 필요하거나 작업 스케줄러에서 명령어가 자동으로 실행이 되지 않는 경우 사용해 보자.
  • 작업 스케줄러의 경로는 [작업 스케줄러 라이브러리 > Microsoft > Windows > Servicing] 이다.
  • 명령어 뒤에 ‘/Reset Base’ 옵션을 추가하면 기존의 서비스 팩과 업데이트까지 모두 제거하여 더 많은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한 마디로 모든 이전 버전의 구성 요소를 제거하여 용량을 확보하는 것이라고 보면 되는데 윈도우가 문제가 생겼을 때 되돌릴 수 있는 수단이 완전히 없어지기 때문에 추천하지는 않는다.